국립 국악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22:54
본문
Download : 국립 국악원.hwp
하지만 잔치에 사용된 음악답지 않게 상당히 느리고 조용했다. 5시에 공연이 처음 이었지만 2시간정도 일찍 도착해서 예술의 전당 전시회를 관람하고, 음악분수에서 이어지는 국립국악원으로 발걸음을 옮기게 되었다. 무대가 2개라는 점이 상당히 신기했다. 단소와 같이 연주되었는데 참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도 첫 번째 연주된 음악이 상당히 빠른 음악이었나보다.
두 번째로 연주된 곡은 관현중주 ‘경풍년’이라는 곡이다. 종소리가 울리고, 막이 올라가면서 공연이 처음 되었는데, 무속음악이라는 ‘푸살’이 연주되었다. 잔치등에 사용되었던 음악이라고 intro 되면서, 무대가 바닥에서 올라왔다. 신기한 점은 아쟁인지 거문고인지는 구분이 잘 안갔으나, 한 연주자가 바이올린처럼 활을 이용해서 연주하기도 하고, 손으로 뜯으며 연주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공연을 하는 줄 알았으나, 올라가보니 국악원 마당에 누구나 쉽게 한국음악을 접할 수 있게 악기들을 마련해 놓았고, 그것을 누구나 쳐보고 놀 수 있었다. 인상 깊었던 악기는 바로 생황인데, 연주하기는 트럼팻을 연주할 때처럼 긴 호흡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상당히 힘들어보였고, 소리는 마치 하모니카와 비슷했다. 시간이 조금 남아 나도 역시 그러한 악기들을 처음 쳐볼 수 있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배운 악기들이 눈에 들어왔다. 처음에 계단을 오르자 북과 꾕과리 소리가 귀에 들어왔다. 연주자 뒤에는 병풍도 보이고, 실내음악이라 그런지, plan에서 연주되는 듯한 모습이었다.
국립,국악원,예체능,레포트
“국립국악원의 토요상설공연을 관람하고 나서”
예술의 전당에는 몇 번 가본 적이 있으나, 국립국악원이라는 곳이 바로 옆에 있었다는 사실이 조금 놀라웠다. 피리가 중피리인지, 세피리인지는 구분이 안갔으나, 해금의 연주를 피리가 항상 따라갔던 것이 기억난다.
세 번째 무대에서는 5분의 음악가가 나와 …(skip)
레포트/예체능
Download : 국립 국악원.hwp( 34 )
순서


국립 국악원 , 국립 국악원예체능레포트 , 국립 국악원
국립 국악원
국립 국악원
설명
다.
공연장에 입장하고서는 굉장히 관람객이 많다는 사실에 놀랐는데, 한국음악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을 했다.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피리가 연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