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를 통해 엿본 일본의 미의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9:48
본문
Download : 다도를 통해 엿본 일본의 미의식.doc
. 주인이나 손님 모두가 불성을 공유하는 존엄한 인격체임을 서로 인정할 때 저절로 우러나오는 상호 존중의 마음가…(투비컨티뉴드 )
,기타,레포트
다도를 통해 엿본 일본의 미의식





다. 즉 각기 개성을 지닌 사람임과 동시에 모두가 공통적으로 불심을 지니고 있는 불이일여(不二一如)가 곧 화의 정신이라는 것이다.
`경(敬)`이란 그저 종이 주인을 섬기듯이 윗사람을 섬기라는 말이 아닐것이다. 센노 리큐는 바람직한 다실의 분위기, 즉 다도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지녀야 할 마음가짐을 화경청적(和敬淸寂) 이라는 네 가지로 다시 규정했다.
`화(和)`란 단지 사이좋게 지낸다는 뜻일 뿐만 아니라 불심에 의하여 서로가 하나가 됨을 이른다.
Download : 다도를 통해 엿본 일본의 미의식.doc( 48 )
설명
레포트/기타
한일文化(문화)비교발표문
순서
한일문화비교발표문 , 다도를 통해 엿본 일본의 미의식기타레포트 ,
0. 들어가며
1. 다도의 歷史
2. 사비
3. 와비
4. 시부사
5. 나가며
2. 사비
센노 리큐(干利休)에 의해 정립된 와비차의 정신은4규(規)를 바탕으로 하고 있따 기존의 다도와 센노 리큐의 다도가 다른 가장 큰 점은 바로 이 4규를 중시한데 있따 4규란 네 가지의 규(規)인데 선종(禪宗)에서 승려들의 모든 생활 양식을 정한 규율 즉 청규(淸規) 중의 화경(和敬)과 청적(淸寂)에서 온 말이다. 다실에 모인 주인과 손님이 각기 개성을 발휘하는 독립, 독보적인 존재이면서도 모두가 공통된 정신적인 기반 즉 불성(佛性)으로 돌아가서, 서로는 둘이면서도 하나가 되는 상태가 곧 화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