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급 임금제도 개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23:26
본문
Download :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hwp
⑦ 거시적 측면에서 횡단적 노동시장의 활성화
3. 직무급 도입의 necessity need
① 임금의 노동대가 원칙에 부합 ; 직무급은 노동의 양과 질에 따라 결정되므로 가장 합리적이고 타당한 임금제도로 볼 수 있따
② 임금결定義(정이) 객관화 : 객관적 직무分析(분석)과 직무평가를 거친 후 임금결정
③ 임금의 공정성 : 노동의 상대적 박탈감 감소
4. 직무급의 결정
1) 직무分析(분석)과 보상요인의 결정
① 직무分析(분석)
먼…(skip)② 보상요인의 결정
2) 직무평가
① 직무평가
② 직무평가와 임금률의 결부
5. 직무급의 설계와 형태
1) 직무급 설계
① 각 직무의 평점에 대응한 임금 수준 산정 : 기준직무에 대한 시장임금률과 임금 수준에 대한 조직의 기본정책 등을 감안하여 직무평가로 도출된 각 직무의 평점에 대응한 임금의 최저, 최고수준 산정
② 임금 등급 설정 : 최고, 최저, mean(평균) 임금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임금을 직무와 연결시켜 임금의 폭을 만들어주고, 여러 직무로 묶여진 단위로서 임금의 등급을 설정
2) 직무급의 형태
① 개별 직무급(평점별 직무급) : 개별직무마다 각기 다른 임금률이 정해져 있는 형태
② 직급별 직무급 : 모든 직무를 적당한 수의 몇 개의 직급(직무등급)으로 묶어 직급별로 임금률을 결정하여 운영하는 형태이다. 최근 기업들은 비정규직의 효율적 관리 및 차별시정 등을 위해서 직무급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 직무급 도입의 전제조건
① 생산이 안정적이어서 직무가 기능적으로 분화되고 표준화되어 있어야 한다. 각 직급별 임금률의 적용범위에 따라 크게 단일직무급(각 직급마다 하나의 임금률)과 범위직무급(동일직급의 직무에 대해 일정범위내에서 임금액 차이)으로 구분된다
6. 직무급의 장·단점
1) advantage(장점)
① 임금배분의 공정성 제고
② 능력주의 풍토 조성
③ 노동력의 효율적 이용 및 인건비의 효율성 증대
④ 개인별 임금차 불만 해소 및 동일노동 동일임금 실현
⑤ 공정한 임금지급을 통해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활용 용이
2) 단점
① 절차 복잡
② 객관적인 평가기준의 설정 곤란
③ 연공주의에서 오는 저항
④ 노동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한국에서의 적용 제한
7. 직무급과 차별시定義(정이) 문제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 ,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경영경제레포트 ,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직무급,임금제도,개요,경영경제,레포트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
Download :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hwp( 41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