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굿과 무당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0:43
본문
Download : 한국의 굿과 무당에 관하여.hwp
강신무의 굿에 비해 세습무의 굿…(省略)
한국 무당의 유형과 한국 굿의 종류를 살펴보고, 지역에 따른 굿의 실태와 그중에서 동해안 지역의 굿의 종류와 특성과 계원리별신굿의 굿거리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이들이 행하는 굿은 타악기 중심의 요란한 악기 반주에 맞추어 동적인 춤을 위주로 하는 춤을 추어 진행하며, 각각의 거리에 따라 신복(神服)을 갈아 입으며 진행된다 작두타기, 사실세우기 등으로 자신들의 영력을 유감없이 보여주며 이들은 일상 삶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복 행위에 대한 신앙심을 적극적으로 나타낸다. , 한국의 굿과 무당에 관하여예체능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굿과 무당에 관하여.hwp( 82 )
한국의 굿과 무당에 관하여
순서
,예체능,레포트
다. 도한 살아있는 전통文化(문화)로서 고도로 발달된 문명 속에서도 한국인들에게 커다란 影響(영향)력을 발휘하여 과학과 합리성이 중시되는 현대에도 당당하게 살아있다아
1. 한국 무당의 유형
한국의 무당은 그들의 입무(入巫) 과정과 신관 그리고 무의식의 형식에 따라 크게 강신무와 세습무로 나눌 수 있다아 강신무는 신병(神病)을 앓고 신내림을 받아 사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습무는 혈통으로 무업을 계승해 가는 무당을 말한다. 이러한 강신무들은 대개 무당, 무녀, 만신, 기자, 박수(남자무당) 등으로 호칭된다
이에 비해 세습무는 혈통에 의해 사제권을 세습해 간다. 강신체험이 없이 굿을 진행하므로 구체적인 신관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굿을 진행하는 동안 신복을 갈아입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굿을 진행시키는 음악은 복잡다단하며 타악기 뿐만 아리라 관·현악기가 동원됨으로서 예술적으로 상당히 발달된 음악으로 굿을 진행한다.설명
한국 무당의 유형과 한국 굿의 종류를 살펴보고, 지역에 따른 굿의 reality(실태) 와 그중에서 동해안 지역의 굿의 종류와 속성 과 계원리별신굿의 굿거리에 상대하여 요약했습니다.






레포트/예체능
1. 한국 무당의 유형
2. 한국 굿의 종류
3. 지역에 따른 굿의 실태(實態)
① 함경도 지역
② 평안도 지역
③ 황해도 지역
④ 서울 지역
⑤ 경기 지역
⑥ 충청도 지역
⑦ 전라도 지역
⑧ 남해안 지역
⑨ 동해안 지역
⑩ 제주도 지역
• 동해안 굿
1. 동해안 굿의 일반적인 성격
1) 무당의 유형
2) 굿주기
3) 굿경비의 종류
2. 계원리별신굿의 굿거리
1) 계원리별신굿의 개관
2) 계원리별신굿의 절차
한국의 굿은 종합예술로서 무용을 비롯하여, 음악, 미술, 연극, 무용,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일정한 구역이 있어서 정해진 구역에는 타인이 간섭할 수 없는 것이 불문율로 되어 있으며, 호남 지역에서는 이를 당골판이라고 한다. 강신무가 주로 한강 이북에 분포되어 있다면, 세습무는 주로 한강 이남에 분포되어 있다아
강신무는 강신 체험을 통해 무당이 된 자로서 강신적인 춤과 노래로 굿을 주관하면서 신의 영력(靈力)을 얻어 신점을 치게 된다 이들은 몸주신을 모시기 때문에 구체적인 신관(神觀)이 있고, 신당에 무신도를 걸어놓고 자신들이 봉신(奉神)하는 신령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