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感想文]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1. 들어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1:48
본문
Download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서평.hwp
우리 한국 사회의 `文化 부재`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과거 중앙박물관 이전 문제는 우리의 `文化 부재` 현상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도 문제의 심각성은 그 도를 넘고 있다. 과거 조선조 때의 예송 논쟁이나 조선왕조에 대한 명칭문제, 광복과 해방의 차이점 등 자기부정의 논리가 스며들어간 왜곡된 역사관을 바로잡으시며 지난 세월 동안 거대한 중국(中國)의 文化에 녹아 들어가지 않은 우리 선조들의 文化·정치적 역량에 대해 높이 평가하시며 이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과거를 해석하셨다. 외국으로 이민을 가고 싶다는 사람이 상당수에 달한다는 사실이 이 점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역사에 대한 정확한 통찰과 이런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서평 1. 들어가며 고려대학교 총창이신 홍일식...
감상문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1. 들어가





설명
순서
[感想文]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 가 서평 1. 들어가
다.
Download :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서평.hwp( 75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서평 1. 들어가며 고려대학교 총창이신 홍일식...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서평 . 들어가며 고려대학교 총창이신 홍일식 선생님의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란 책을 읽고 이제껏 부정되어 왔던 우리 한국의 전통 文化와 의식에 대해 재조명해 보고 또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우리 사회는 文化와 전통의 부재로 말미암아 공동체 의식이 없는 `만인에 대해 만인이 싸우는` 아수라장이 된 것은 아닐까 그러면 이 책의 저자이신 홍일식 선생님의 한국사회에 대한 진단과 그 처방에 대해 간략한 기술과 더불어 이에 대한 필자 개인의 생각을 담아 풀어 보도록 하겠다. 文化 정책에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것이다. 말로는 文化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아직도 文化는 뒷전이다. 일제치하에서 지배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조작되어 온 식민지 사관과 이에 대한 지식인들의 동조는 식민지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자기부정’ 현상이라 지적하시며 이 현상이 지나고 나면 바로 ‘조화와 극복의 시대’가 온다고 서술하셨다. . 부정에서 긍정으로, 그 인식의 전환점에서 홍일식 선생님께서 이 글을 통해 가장 먼저 언급하신 부분은 바로 우리의 왜곡된 역사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