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7:21
본문
Download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hwp
마지막으로, 회전하는 원반 위에 링을 내려놓아 각속도의 變化를 측정(measurement)하여 각운동량 보존여부를 검증한다. 그 다음, 원반 위에 링을 올려 회전계의 관성 모멘트를 측정(measurement)한 후 원반 및 축의 관성 모멘트를 빼주어 링의 관성 모멘트 값을 구해준다.
축의 관성 모멘트 측정(measurement)實驗(실험)을 제외한 세 實驗(실험)에서 理論(이론)치와의 오차는 -6.25 ~ +0.45% 정도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각운동량 보존 實驗(실험)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할 초기 각가속도, 나중 각가속도 사이에 미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일정하게 보존되어야할 초기 / 나중 각운동량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Download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hwp( 98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의 결과 레포트(report) 입니다.
2. 오차의 原因 &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① 理論(이론) 오차
결과 分析을 할 때 理論(이론)적인 중력 가속도 g를 980cm/s2로 잡아서 계산했는데, 이는 북위 37°에서의 표준 중력 가속도 9.799㎨와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표준 중력 가속도 역시 實驗(실험)실에서의 실측 중력 가속도와 미세하나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계산 결과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② 實驗(실험) 오차
* 環境 오차
- 實驗(실험)할 때 이용한 테이블이 지면과 완전히 수평이 되지 않았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풀리를 설치한 스탠드도 지면과 완벽하게 수직을 이루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스탠드와 스마트 풀리를 연결하는 막대의 조임새 부분이 꽉 조여지지 않아서 實驗(실험) 시 스마트 풀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지 않았을 수 있다
- 축과 스탭 풀리 사이의 마찰력, 스탭 풀리와 감겨져있는 실 사이의 마찰력, 실과 스마트 풀리의 풀리 부분과의 마찰력, 포토 게이…(생략(省略))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관성모멘트와각운동량보존-결과보고서
레포트/공학기술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의 결과 레포트입니다.
설명
2. 토의
1. 理論(이론)치와의 오차
이번 實驗(실험)은 축 위에서 원반과 원반+링을 회전시켜 회전 역학계에서의 원반, 링, 막대(축) 등의 회전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측정(measurement)하여 각운동량 보존을 검증하는 實驗(실험)이다.관성모멘트와각운동량보존-결과보고서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공학기술레포트 ,
다. 우선 축만 회전시켜 축의 관성모멘트를 측정(measurement)하고, 축 위에 원반을 얹어서 회전계의 관성모멘트를 측정(measurement)한 다음, 축에 의한 값을 빼주어 원반의 관성 모멘트 값을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