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 analysis(분석) -고소설의 형식적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9:46
본문
Download : 『토끼전』 분석-고소설의 형식적 특징-.hwp
그러나 토끼가 속았음을 깨닫고 토끼가 용왕을 속여서 육지로 나온다.
* 퇴별가 : 남해 용왕이 병들어 선관이 토끼의 생간을 약으로 권한다.
2) 근대 초기의 소설
《토끼전》이 형성된 근대초기란 英祖 元年(영조 원…(drop)
설명
,서평,서평감상
Download : 『토끼전』 분석-고소설의 형식적 특징-.hwp( 33 )
『토끼전』 analysis(분석) -고소설의 형식적 특징-
서평감상/서평






순서
《토끼전》발표문
다. 별주부가 토끼를 잡으러 육지로 나와 토끼를 속여 용궁으로 데려간다. 거북이가 토끼를 잡으러 육지로 나와 토끼를 속여 수중에 데려갔으나 토끼가 속았음을 깨닫고 다시 거북이를 속여 육지로 나온다.
* 귀토설화 : 동해 용왕의 딸이 병이 들자 의원이 토끼의 간을 약으로 일러준다. 그래서 자라가 원숭이를 잡으러 육지로 나와 원숭이를 속여 수중으로 데려가나 원숭이가 속았음을 깨닫고 자라를 다시 속여 육지로 나온다.
《토끼전》발표문 , 『토끼전』 분석-고소설의 형식적 특징-서평서평감상 ,
Ⅱ. 토끼전의 배경
1) 토끼전의 형성과정
악본생설화 · 불설별미후경설화 ⇒ 귀토설화 ⇒ 퇴별가 ⇒ 토끼전
* 악본생설화 : 악어 처가 원숭이의 심장을 먹고 싶어해 악어가 원숭이를 잡으러 육지로 나와 원숭이를 속여 수중으로 데려간다. 후에 원숭이가 속은 것을 깨닫고 원숭이가 다시 악어를 속여 육지로 나온다.
* 불설별미후경설화 : 자라 처가 거짓 아픈 척을 하며 원숭이의 간을 약으로 먹으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