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고대의 사회와 文化 · 삼국시대 안동 / 3장. 고대의 사회와 文化 1절. 삼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4:07
본문
Download : 고대의 사회와 문화· 삼국시대 안동.hwp
이 기록은 이후 고려사지리지 · 세종실록지리지 등을 거쳐 동국여지승람 에 이르기까지 이어진다. 또한 변한 지역을 기반으로 일어난 가야도 마찬가지였다. 답산기 라는 책은 풍수와 관련되는 책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서 안동의 옛 이름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고대의 사회와 문화· 삼국시대 안동.hwp( 41 )
인문사회 고대의 사회와 문화 · 삼국시대 안동 / 3장. 고대의 사회와 문화 1절. 삼국
순서
3장. 고대의 사회와 문화 1절. 삼국시대의 안동 1. 진한과 안동 우리...
설명
3장. 고대의 사회와 文化 1절. 삼국시대의 안동 1. 진한과 안동 우리...
다. 신라가 일어난 진한 지역은 china(중국) 측 기록인 삼국지·위서·동이전 의 진한조에 의하면, 열 두 개의 소국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각각의 소국들이 현재의 어느 지역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안동지역의 경우는 다른 지역에 비해 資料가 더욱 영세한 편이어서 당시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인문사회] 고대의 사회와 文化 · 삼국시대 안동 / 3장. 고대의 사회와 文化 1절. 삼국





3장. 고대의 사회와 문화절. 삼국시대의 안동. 진한과 안동 우리나라의 고대사 資料상으로 歷史시대에 속하면서, 삼국시대가 열리기 이전의 시대를 한강 이남 지역에 한정한다면 삼한시대로 부를 수 있다 신라와 백제는 각각 삼한 소국들 중 하나인 사로국과 백제국에서 출발하여 진한의 소국들과 마한의 소국들을 점령해가면서 신라와 백제로 성장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삼국이 일어난 중심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변두리에 해당되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는 진한 12국 중에서 일부가 안동지역에 해당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먼저 각종 지리지에 나오는 창녕국에 관해서 살펴보자. 경상도지리지 안동조에서 인용하고 있는 답산기 라는 책에는 ‘전한 선제 오봉원년 갑자년에 염상도사가 길지를 찾아 처음에 창녕국을 세우고 다음에 일계군, 지평군, 화산군, 고녕군, 고장군, 석릉군, 안동부, 영가부, 길주를 세우니 별호 능라군이다’라고 되어 있다고 한다. 삼한시대의 안동지역에 있던 소국이 어떤 이름으로 歷史에 남아 있는지는 대체로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경상도지리지 , 세종실록지리지 , 동국여지승람 등 조선조 이후 많이 편찬된 각종 지리지들과 안동지역의 지방지를 대표하는 영가지 에 실려 있는 창녕국이 삼한시대 소국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