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부모교육]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부모교육 A형]드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7:41
본문
Download : 드라이커스.hwp
Download : 드라이커스.hwp( 26 )
애들러의 심리학을 개인심리학이라 칭한다.
『 부모교육』, 이연섭 ․ 강문희, 정민사, 2000
1) 열등과 보상(inferiority and compensation)
나) 자녀들에게 나타난 效果
(1) 부모교육의 원리
김금주 외 공저, “부모참여”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유아교육과 4학년 부모교육 A형 참고data(자료)입니다
2. 본 론
다) 그 밖의 사람들에게 나타난 效果
드라이커스,고든,드라이커스와고든,부모교육,유아교육과
정순화 외 공저, “부모교육-부모역할의 이행”
순서
(1) 애들러(Adler) 심리학의 주요 관념
(1) 애들러(Adler) 심리학의 주요 관념
1. 서 론
설명
[부모교육]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부모교육 A형]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이론을 비교 설명(explanation)하시오.
1. 서 론
(2) 고든(Gordon)의 부모교육 program의 效果
- 방통대 2010-1학기 유아교육과 4학년 부모교육 A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조인수, 권영화(2004). 부모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 부모교육』, 이연섭 ․ 강문희, 정민사, 2000 김금주 외 공저, “부모참여” 윤석희 외 공저, “부모교육” 정순화 외 공저, “부모교육-부모역할의 이행”
레포트 >
1960년대 이후부터 부모교육 program은 다양하게 발전되기 스타트했다. 가) 수용 정도를 파악하기
- 다양한 data(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3. 결 론
민주적 양육방식 theory 을 드라이커스(Ruodolf Dreikurs)가 애들러(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 theory 을 부모교육에 적용하여 체계화시킨 것으로 인간 관계의 평등성을 강조한다. 예전부터 해오던 부모역할 및 자질 향상을 위한 program은 theory 이 다양화 되었고, 부모의 교육기능 강화를 위한 program은 학교 중심 program과 가정중심 program, 지역사회 중심 program으로 세분되었다.
(4) 드라이커스(Dreikurs)의 부모교육 program의 效果
1)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양육방식 theory
나) 문제를 가진 사람을 찾기
(3) 부모교육의 원리
1)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양육방식 theory
2) 고든(Gordon)의 부모의 효율성훈련 theory
2. 본 론





2) 우월을 향한 노력(striving for superiority)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data(자료)] 조인수, 권영화(2004). 부모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다.(진용일,1993). 인간은 최고 수준의 자기 완성을 향한 의지를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열등감을 극복하려고 노력 하게 되며, 이 열등감은 자기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심리적인 보상동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는 사회적 및 가족적 요인에 의해서 개인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4. 참고data(資料)
애들러(Adler)의 최초의 theory 적 업적들은 ‘기관 열등’과 그에 따른 ‘보상’ 관념이었다. 그러나 성공적인 보상을 하지 못하면 열등 콤플렉스가 생길 수 있다.
가정이란 단위야말로 아동들이 행동양식을 처음으로 학습하는 장이 되므로 부모들은 자녀에 대한 보다 나은 지식을 갖고 잘 도와주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던 애들러의 theory 을 부모교육에 적용하여 발전시킨 theory 이다. 부모의 역할 및 자질 향상 교육과 부모의 교육기능 활성화교육의 두 유형의 부모교육 theory 의 특징은 다시 자녀의 연령, 부모교육을 받는 대상, 부모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 목표(goal) 요인에 의해 세분화 될 수 있다.
다) 아동을 돕는 기술(helping skills)을 사용
(2) 민주적 양육방식 theory 의 배경
윤석희 외 공저, “부모교육”
가) 부모들에게 나타난 效果
애들러(Adler)는 인간 모두에게 공통된 기본적 동기는 ‘우월을 향한 노력’ 이라는 conclusion(결론)에 도달했는데, 노력은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욕구에서 나오며 우월을 향한 노력이 선천적이라고 해도 노력의 특별한 모습은 개인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