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china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 방안 / china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4:05
본문
Download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방안.hwp
이때부터 고구려를 china(중국) 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보고, 고구려사를 china(중국) 사의 일부로 편...
china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방안 최광식(고려대) china의 국무원 ...
순서
인문사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 방안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china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 방안 / china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
다. 이즈음 동북지방의 연구기관들이 동북지방의 history(역사) 와 지리 및 민족문제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처음 하였다. . china(중국) 의 고구려사왜곡 배경 china(중국) 은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내세워 소수민족 정책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갖기 처음 하였다.





Download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방안.hwp( 71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방안 최광식(고려대) 중국의 국무원 ...
china(중국) 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남북협력대책 최광식(고려대) china(중국) 의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원 직속 변강사지연구중심에서는 2002년 2월부터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5년간 추진하고 있따 이 ‘동북공정’은 china(중국) 동북지방의 history(역사) 와 현실문제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학제적으로 다루는 국가적 중점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따 그런데 이 ‘동북공정’에서 다루는 문제 중에서 고구려를 비롯한 고조선과 발해 등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한국의 history(역사) 를 왜곡하고 있어 한국이 이에 대해 항의를 하고 history(역사) 왜곡의 중단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1993년 고구려 학술회의에서는 china(중국) 학자들과 북측학자들 사이에 열띤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특히 1989년 동구권이 變化하고, 1991년 소비에트가 해체되면서 국경 지방의 소수민족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1992년 한국과 china(중국) 이 수교한 이후에는 동북지방에 대한 관심이 더욱 각별해졌다. china(중국) 당국이 ‘동북공정’이라는 국가적 프로젝트를 추진하게된 배경을 알아보고, ‘동북공정’의 내용을 고구려사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intro 하고자 한다. 그리고 ‘동북공정’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응대책을 살펴본 다음 남북의 공동 협력대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탈북자들이 대거 china(중국) 으로 넘어오는 사태가 빚어지자 동북지방의 정체성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하면서 대책을 세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