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학기 현대의서양文化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A형(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20:38
본문
Download : 20162_중과_교양4_현대의서양문화_A형.zip
- 목 차 -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다. 지식이 순환하고 기능하는 방식과 지식이 권력과 맺는 관계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가 주목하는 바는 신체에 대한 ‘미시권력’이 규율을 통하여 신체를 억압하지 않고 신체를 특정한 목적에 맞도록 길들이는 점이다.
Download : 20162_중과_교양4_현대의서양문화_A형.zip( 87 )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순서
반면, 푸코는 근대 주체를 특정한 history(역사) 적 시기의 ‘권력 장치들’에 의해서 구성된 효능라고 본다. 왜냐하면 권력의 형식은 즉각적인 일상생활에 적용되어 개인을 범주화하고, 개인을 자신의 개별성에 의해 특징짓고, 개인을 자기의 고유의 정체성에 밀착시키기 때문일것이다
I. 서 론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니체의 권력과 진리 2. 푸코의 권력과 진리 3.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 서술.hwp 2.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hwp 3.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푸코 서술.hwp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5. 결론 작성시 참조.hwp
II. 본 론
현대의서양문화,방통대현대의서양문화,방송대현대의서양문화,현대의서양문화과제물,현대의서양문화레포트
2.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hwp
III. 결 론
설명
2016년 2학기 현대의서양文化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A형(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푸코는 권력의 테크놀로지들이 사용되게 되는 특별한 계기들과 효능들 그리고 그것들과 연관된 합리성이라는 문제에 집중한다. 나아가 이러한 장치는 작업장, 공장, 병원, 병영, 학교 등에서도 실행된다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5. conclusion(결론) 작성시 참조.hwp
I. 서 론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data) 한글파일 >>
예를 들어 의사는 사람의 신체와 건강, 삶과 죽음에 대하여 통제되지 않는 권력을 행사하는데 이는 왜 그럴까? …… 개인들에 대해 행사된 권력을 비판한다.
1. 니체의 권력과 진리
3.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푸코 서술.hwp
- 중략 -
출처
2. 푸코의 권력과 진리
지식의 제도가 문제인 것이 푸코는 계속해서 권력의 테크닉과 형식을 공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관심은 온전한 인격, 온전한 인간의 창조에 몰두했고 이러한 인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초인’definition 을 제시했다. 이들은 주적을 찾는 것이 아니라 눈앞의 적을 본다. 그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나 광인에게 행사되는 권력에 대한 비판이 정신병치료 제도에만 한정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이들의 존재를 합리화하는 방식과 제도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니체는 현대의 위기를 지성주의와 합리주의의 허구로부터 기인한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인사상’과 ‘힘에의 의지’라는 원리에서 찾으려 하였다. 또한 그는 추상적인 사고보다는 인간의 가치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권력이 행사되는 양식에 대한 비판적 分析(분석)에 있는 것이다. 규율은 개체들을 통제하고, 훈련시키고, 조직하는 테크닉을 사용한다.
1. 권력과 진리의 문제에서 니체 서술.hwp
3. 니체와 푸코의 유사점
예를 들어 감옥 장치는 정상적인 개인을 만드는 교정 장치로서, 신체를 길들이는 기술을 사용하여, 길들여지고 쓸모 있는 개인을 낳는다. 지식, 권한, 자격 등에 연결되어 있는 권력효능를 눈여겨봐야 한다. 푸코는 권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을 품는 것이 아니라 권력관계가 어떻게 합리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