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工學 - 온도측정(measurement)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2:04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 - 온도측정 실험.hwp
<이종금속의 법칙; 서로 다른 두 가지 금속의 양단을 접합하여 폐회로회로를 구성 하면 양단의 온도차이 만큼 열기전력이 발생한다.
다음 식은 온도를 나타내는 식이다. 두 종류의 금속의 한 끝을 접합시켜 감지 기능을 만든다.
ⓒ 이때 단자에 연결되는 열전대 소선의 말단을기준 접점부(Reference Junction) 라고 부른다. 이것을 측온 접점(Hot junction) 이라고 부른다.
. 온도계의 종류
Download : 기계공학 - 온도측정 실험.hwp( 63 )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한자로는 熱電對, 영어로는 Thermocouple 로 적는다.
기계工學 - 온도측정(measurement) 실험
기계공학,온도측정 실험





이처럼 온도에 따라 열기전력이 나오는 현상을 지벡효과(Seebeck effect)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법칙이 이종금속의 법칙으로 열전대 theory 의 기본 theory 중에 하나이다. 한자나 영어를 잘 살펴보면, 對 그리고 ...couple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복수명사에 서 알 수 있듯이 열전대는 두 가지 금속으로 구성된다.
. 온도계의 종류 (1) Glass bulb 온도계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Glass bulb 온도계는 열역학 제 0법칙에 근거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1) Glass bulb 온도계
결국 열전대는 측온 접점으로부터 두 선으로 갈라지는 데,
ⓑ 이 두 개의 소선은 각각 절대지벡계수가 큰 쪽이 (+), 작은 쪽이 자동으로 (-)가 되어 계측기 입력단자에 연결한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Glass bulb 온도계는 열역학 제 0법칙에 근거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시스템의 온도를 측정(measurement)하는 기구이다.
0℃일 때 전압 값, 100 ℃일 때의 전압 값을 여러 구간에 걸쳐 온도와 전압의 비를 알아서 전압계의 전압눈금을 온도눈금으로 바꿔 온도로 직독하게 한다. 다음 식은 온도를 나타내는 식이다.>
순서
다.
이렇게 구성이 되면 열전대의 감지부인 측온 접점에 임의 온도가 되도록 열이 가해지면, 기준접점과의 온도차이 만큼 열기전력(emf)이 발생되어 연결된 전압계에 전달되어 그 열기전력 값인 전압 값을 측정(測定) 하게 된다.
설명
ⓐ 이 두 선을 열전대 소선(Element)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