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마을의 발전과 고인돌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05:52
본문
Download : 농경마을의 발전과 고인.hwp
중간에 주기둥이 서있고 전체적으로 보면 원뿔모양.
지붕의 모습은 맞배지붕형. ㅅ자형. 벽채와 문의 경우 아주 드물게 판자를 이용한 곳이 발견되었다.가옥구조 집자리 유적 / (가옥)
레포트 > 기타
청동기 시대라하면 BC1000~300년까지 이야기함. 네모자리가 가장 크게 보급됨. 하지만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좀 늦은시기에 300년쯤에 원형평면의 집자리가 유행함. 지름은 보통 6~4미터정도로 한식구가 사는 규모의 크기. 한가운데 기둥구멍이 두개가 나있다. 한집안에 여러개의 화덕이 보이는걸로 보아 많은이가 한집에 산것으로 보여짐.





순서
가옥구조 집자리 유적
Download : 농경마을의 발전과 고인.hwp( 23 )
설명
1)가옥구조의 정형화
다.
(2)원형 평면의 집자리: 송국리형 집자리
(1) 평면 방형의 집자리 -울산 무거동 마을 유적
판자집도 있었으리라 짐작. 대부분은 흙과 볏집 등으로 벽채 구성. 판자집은 그 당시 초호화 별장수준. 판자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금속기를 사용했다는 뜻.
농경마을의 발전과 고인돌사회
: 네모 반듯반듯한집이 낮은 언덕에 수십채. 기둥자리 남아 있고 중간에 화덕이 있음.
가옥구조 집자리 유적 / (가옥)
정확하게 말해서 장방향꼴. 보여지는 슬라이드 말고 더욱 큰 10미터 이상의 큰 집자리가 발견된다.